딥러닝 영상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연기 및 화재를 감지하여 산불을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지능형 산불 연기 발생 상황분석 시스템
산불을 초기에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‘불’이 아닌 ‘연기’를 먼저 감지 |
실시간 다채널 동시 분석 및 모니터링 기능 제공 |
영상에서 연기와 유사한 구름, 안개 등의 오탐을 최소화 하는 딥러닝 모델 적용 |
![]() |
![]() |
![]() |
시스템을 통한 연기 감지 | 실시간 다채널 동시 분석 | 구름과 안개, 연무 등을 정확하게 구분 |
특장점과 주요 기술
국내 환경 기반의 다량의 산불 관련 데이터셋 |
국내 CCTV 카메라 화각 기준의 데이터셋 |
국내 환경 맞춤형 계절 및 시간별 데이터셋 |
![]() |
![]() |
![]() |
국내 산불 감시 CCTV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셋 보유 (이미지 29.9만 건, 동영상 3천 시간) 국내형 데이터셋을 통해 더욱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산불 감지 모델의 확보가 가능 |
산불 관련 일부 공개된 데이터들은 대부분 해외 기준 CCTV 카메라 화각 으로 생성된 데이터로써 국내 산불 감지 시에는 오탐이 다수 발생함 국내 기준 CCTV 카메라 화각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오탐을 감소시킨 데이터셋 구축 |
4계절이 존재하는 국내의 특성 상 계절별 데이터셋의 확보는 필수 시간별 데이터셋은 일출, 주간, 일몰, 야간으로 구분하여 관리 계절 및 시간적 요인을 포함한 데이터셋을 통해 산불연기 감지용 AI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킴 |
주요기능
- 실시간 연기 및 산불 감시 기능
- 연기 탐지 시 위치 추정 기능
- 연기 유사 형태 구분 기능
- 실시간 모니터링 및 알림 기능
- 관리 기능